학사정보 DONGEUI INSTITUTE OF TECHNOLOGY

강의자료실

학사정보강의자료실

2024년 용접실습 기말고사 예상문제 및 풀이

박재민 2024-12-09 12:16 322

1.다음 피복 아크 용접봉의 피복제 연소 시 용접부 보호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가스 발생식 ②슬래그 생성식

③반가스 발생식 ④반슬래그 생성식

용착금속의 보호 방식

슬래그 생석식 : 슬래그로 산화,질화방지,탈산작용

가스 발생식 : 셀롤로스 이용

반가스 발생식 : 슬래그 생성식+가스 발생식 혼합

 

2.피복금속 아크용접에서 아크 안정제에 속하는 피복제는?

①산화티탄 ②탄산마그네슘

③페로망간 ④알루미늄

 

아크안정제 피복제 : 규산나트륨 규산칼슘 산화티탄 석회석 등

 

 

3.전기용접기의 취급관리에 대한 안전사항 으로서 잘못된 것은?

①용접기는 항상 건조한 곳에 설치 후 작업한다.

②용접전류는 용접봉 심선의 굵기에 따라 적정 전류를 정한다.

③용접 전류조정은 용접을 진행하면서 조정한다.

④용접기는 통풍이 잘되고 그늘진 곳에 설치하고 습기가 없어야 한다.

 

전기용접기의 취급관리에 대한 안전사항

①용접기는 항상 건조한 곳에 설치 후 작업한다.

②용접전류는 용접봉 심선의 굵기에 따라 적정 전류를 정한다.

③용접전류조정은 용접(아크)을 정지한 후 전류조정을 실시한다.

④용접기는 통풍이 잘되고 그늘진 곳에 설치하고 습기가 없어야 한다.

4~5 객관식 용접기호

아크 원 리
용접봉과 모재간에 직류 또는 교류 전압을 걸고 용접봉 끝을 모재에 접근시켰다가 떼면 <그림1> 피복아크 용접의 원리와 같이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강한 빛과 열을 내는 아크가 발생한다. 아크 열(약 5000℃)에 의하여 용접봉은 녹아서 금속증기 또는 용적(globule)으로 되어 용융된 모재와 융합하여 용착금속을 만든다. 이때 녹은 쇳물 부분을 용융지(molten weld pool), 모재가 녹아 들어간 깊이를 용입(penetration), 용접봉이 용융지에 녹아 들어가는 것을 용착이라고 한다. 

 

 

크레이터의 처리법  
아크를 끊으면 비드의 끝에 크레이터(crater)가 남는다. 이 크레이터는 최후의 용융 풀이 응고 수축될 때 생기는 것으로 슬래그의 섞임이 되기 쉽고, 수축될 때 균열이 생기기가 쉽다. 따라서 이것을 그대로 두면 파손이나 부식, 기타 결함의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완전히 덮지 않으면 안 된다.


크레이터의 처리법은 용접이 끝나는 부분에 가서 아크를 짧게 하여 천천히 운봉을 하며, 다시 용접봉을 뒤로 보내서 재빨리 아크를 끄도록 한다. 아크를 끈 후 움푹 파여져 그대로 있으면 다시 되풀이하여 충분히 쌓아올려야 한다. <그림3>에는 크레이터의 처리법을 나타내었다.

 


< 그림 3 >크레이터의 처리법